카테고리 없음

치료보다 예방이 더 중요한 질병, 뇌졸중

맛집어디 2023. 10. 2. 13:0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흔히 중풍이라고 하는 뇌혈관질환 중 [뇌졸중]의 증상, 원인,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정보를 소개합니다.


뇌졸중이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허혈성 뇌졸중), 터지면서(출혈성 뇌졸중) 뇌에 손상이 생기고, 이로써 발생하는 편측마비, 언어장애 및 의식장애 등의 신경학적 이상을 뇌졸중(腦卒中)이라고 합니다. 중풍은 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막연한 병명이고, 의학용어인 뇌졸중이 정확한 병명입니다.

뇌는 하루 24시간 동안 잠시도 쉬지 않고 일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산소와 포도당을 공급받아야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뇌는 심장에서 내보내는 혈액의 약 20%, 산소의 약 25%를 소비합니다.
뇌는 내경동맥(속목동맥)과 척추동맥에 의하여 혈액공급을 받습니다. 한쪽 혈관이 막혀 일시적으로 혈류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일반적으로 다른 쪽 혈관에 의해 혈액을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뇌졸중 증상

뇌혈관은 각자 담당하는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 혈관이 문제를 일으켰는지, 손상된 뇌의 위치와 범위가 어떠한지에 따라 매우 다양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뇌졸중의 발생을 의심해보아야 할 대표적인 조기증상은 갑작스런 편측마비, 언어장애, 시각장애, 어지럼증, 그리고 심한두통 등이 있습니다.

1. 갑작스런 편측마비
한쪽 팔, 다리에 마비가 오고 힘이 빠짐
한쪽 팔, 다리가 저리고 감각이 없어짐
[참고] 저림, 따가움, 시림 등의 증상과 양쪽 다리, 양쪽 팔의 힘이 동시에 빠지는 것은 편측 마비가 아닙니다.

2. 갑작스런 언어장애
말이 어눌해지거나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지 못함

3. 갑작스런 시각장애
한쪽 눈이 보이지 않거나 하나의 물건이 두 개로 보임
시야의 오른쪽 반 혹은 왼쪽 반이 보이지 않음

4. 심한 어지럼증

5. 심한 두통
번개나 망치로 맞은 듯한 아주 심한 두통

■응급조치■
뇌졸중은 치료에 있어서 시간을 다투는 병입니다. 뇌졸중이 의심되면 치료받을 수 있는 병원을 즉시 방문해야 합니다. 뇌졸중의 증상이 몇 분 내지 몇 시간 안에 저절로 좋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일과성 허혈발작). 그러나 이 경우에도 재발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즉시 병원을 찾아가는 것이 좋습니다. 119로 전화하시거나 직접 가는 것이 빠른 경우에는 바로 병원으로 가십시오.

■이런 건 하지마세요!■
뇌졸중 치료시간을 늦추게 되 고 환자를 더욱 위험하게 할 수 있습니다.
ㆍ손가락을 따고 기다리는 일
ㆍ물이나 약 등 입에 무언가를 넣는 일
ㆍ팔다리를 주무르면서 기다리는 일
ㆍ침을 놓고 기다리는 일

 

뇌졸중 원인

[조절 가능한 위험인자]
ㆍ고혈압: 뇌졸중 발생 위험 3-5배 상승
ㆍ당뇨병: 뇌졸중 발생 위험 2-3배 상승
ㆍ이상지질혈증
ㆍ흡연: 뇌졸중 발생 위험 1.5-3배 상승
ㆍ심장질환(심방세동, 심혈관질환)
ㆍ비만
ㆍ비파열 두개내 동맥류(aneurysm)
ㆍ무증상 목동맥 협착
ㆍ신체 활동 부족
ㆍ폐경 후 여성 호르몬 치료

[조절 불가능한 위험 인자]
ㆍ나이(고령)
ㆍ인종(동양인 > 서양인)
ㆍ성별(남자 > 여자)
ㆍ가족력/병력


뇌졸중 예방

최근 우리의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동맥경화증이나 그로 인한 협심증, 심근경색증, 뇌경색증 환자들이 많이 늘었습니다.
뇌졸중 중에서도 허혈성 뇌졸중(뇌경색)의 비율이 늘었으며, 서구와 비슷하게 전체 뇌졸중의 8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뇌 조직은 뇌졸중으로 한번 괴사에 빠지면 어떤 치료(침술,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에도 이전 상태로 되살아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뇌졸중이 발생하면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상당수의 환자들에게 후유증이 남게 되고, 이로 인한 환자 자신의 고통은 물론이고 사회적, 경제적 손실이 매우 큽니다.

이러한 뇌졸중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예방 뿐이며, 의사들의 주된 관심도 뇌졸중의 효과적인 예방에 있습니다.


[예방을 위한 생활수칙]

1. 금연
담배는 반드시 끊습니다.

2. 술 줄이기
술은 하루에 한두잔 이하로 줄입니다.

3. 싱겁게 먹기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고, 채소와 생선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4. 꾸준한 운동
가능한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을 합니다.

5. 적정체중 유지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합니다.

6. 즐거운 마음 갖기
스트레스를 줄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합니다.

7. 정기적 검사
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을 측정합니다.

8. 꾸준한 치료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을 꾸준히 치료합니다.

9. 발생 즉시 병원이송
뇌졸중, 심근경색증의 응급증상을 숙지하고 발생 즉시 병원에 갑니다.
*출처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맛집어디 #뇌졸중 #뇌졸증 #중풍 #뇌혈관질환 #뇌졸중증상 #뇌졸중원인 #뇌졸중예방

728x90
반응형